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청년도약계좌 vs 청년희망적금, 뭐가 다를까?

by IMMAM 2025. 4. 11.

청년들을 위한 정부지원 금융상품은 다양합니다. 특히 청년도약계좌청년희망적금은 많은 이들이 혼동하는 상품 중 하나입니다. 이 두 상품은 모두 저축을 장려하고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한 제도이지만, 가입 조건과 혜택, 목적에 차이가 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두 상품의 차이를 명확하게 비교해드립니다.

청년도약계좌란?

청년도약계좌는 2024년부터 새롭게 도입된 제도로, 만 19세~34세의 청년 중 일정 소득 기준을 충족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합니다. 이 상품은 매달 최대 70만 원까지 납입 가능하며, 정부가 매칭지원(보조금 형태)을 통해 자산 형성을 지원합니다. 최대 5년간 유지할 수 있으며, 소득에 따라 정부지원금이 차등 지급됩니다.

청년희망적금이란?

청년희망적금은 2022년부터 시행된 제도로, 만 19세~34세의 청년 중 총급여 3,600만 원 이하의 조건을 만족하는 사람만 가입할 수 있습니다. 매월 최대 50만 원까지 저축할 수 있으며, 비과세 혜택과 정부 장려금이 제공됩니다. 가입 기간은 최대 2년이며, 만기 시 이자와 함께 정부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.

두 제도의 주요 차이점

항목 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
가입 기간 최대 5년 최대 2년
월 납입 한도 최대 70만 원 최대 50만 원
소득 조건 중위소득 180% 이하 총급여 3,600만 원 이하
정부지원 방식 매칭지원금 장려금 + 이자소득 비과세

어떤 상품이 더 좋을까?

장기적으로 자산을 모으고 싶은 청년이라면 청년도약계좌가 더 유리할 수 있습니다. 반면, 단기간에 적금 방식으로 저축하고 싶은 경우에는 청년희망적금이 적합할 수 있죠. 두 상품 모두 소득 조건이 중요하므로, 자신의 연봉과 가입 가능 여부를 먼저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.